본문 바로가기

긍정3

긍정의 기록 넷, 어른되기 부정적인 감정들을 처리하는 나만의 방법이 있다면 슬퍼할 수 있는 만큼 슬퍼하고, 고민할 수 있는 만큼 고민하고, 흔들리는 대로 흔들려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감정은 제자리로 돌아와 있거나, 한결 더 나은 상태가 되어 있기도 했다. 슬퍼할 수 있을 때에 슬퍼하는 것. 고민할 수 있는 때에 고민하는 것. 흔들릴 수 있을 때에 흔들리는 것.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고민할 수 있을 때에 충분히 고민해야 다음에 같은 고민을 반복하지 않고 성숙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마저 힘에 부칠 때는 잠을 잤다. 충분히 자고 정신없이 꿈을 꾸다 보면 잠에서 깼을 때 어느 순간 생각이 정리되면서 마음이 단단해졌다. 공선옥은 소설 '내가 가장 예뻤을 때'에서 스무 살을 '우리는 아직 좀 더 흔.. 2010. 1. 19.
긍정의 기록 둘, '이야기' 하는 인간되기. 고등학교 때, 나? 감정들이 목구멍까지 차있던 아이 같아. 감수성은 풍부했는데, 그것들을 풀어내는 방법을 몰랐던 거지. 그때는 책을 미친 듯이 좋아하지도 않았고,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도 무척 서툴렀고, 가까이 있는 친구나 가족들에게 대화로 내 이야길 하는 건 더욱 어려운 일이었지. 한마디로 '수다'가 부족한 아이였어. 나 고등학교 진학할 때, 오빠 대학 진학 때문에 관심 받지 못해서 죽도록 서러웠던 거, 그런 거 친구들한테 이야기할 수도 있는 건데. 좋아하는 남자 이야기 그런 거 친구들이랑 수다 떨고 그러면 되는 거였는데. 모든 고민은 나만의 것이라고 생각 했나 봐. 그러니, 가끔 목구멍이 터져 올라 표출하게 되는 감정들은 자연스러운 것들이 아니었어. 분노하고 소리 지르고 화내고... 이해받지 못할 .. 2008. 2. 20.
긍정의 기록 하나,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스스로도 마음이 많이 단단해졌다고 생각하던 때에 다시 던져진 이 질문은 너무나 당황스러웠다. 이제와서 이렇게 원초적이고 본질적인 화두라니, 나더라 그 수많은 생각을 다시 하라고? 싫다 정말... 하지만 이미 던져진 질문은 머리속을 떠나지 않았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가만히 생각해보니, 4년 전에 처음 서울로 올라와 새로운 삶을 시작할 때 던져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지금 내게 다시 던져진 질문,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 분명 질적으로 다르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4년전의 '?'는 낯선 환경과 생활을 어떻게 내가 적응하고 받아들이며 살아야, '내가 나일 수 있을까.'를 위한 질문이었다면, 최근에 다시 던져진 '?'는 걱정 많고 자주 불안해 하지만, 능동적이고 창의적으.. 2008. 2. 9.